본문 바로가기

PC-Internet336

마이크론 Crucial BX300 SSD (120GB) 개봉기 SSD를 120GB 와 250GB 사용해보니 120은 부족한감이 있지만 간단한 오피스용 정도로 사용하려는 컴퓨터에 쓰려고 구매를 했습니다. OS용은 여차하면 포맷을 하고 윈도우 재설치를 해야하는데 SSD 용량이 너무 크면 백업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그렇다고 HDD같이 파티션을 나누고 사용하자니 그것도 좀 아닌거 같고 그렇더라구요. 그렇게 핑계삼아 120GB 임에도 구매를 했습니다. 3D NAND, MLC, SM2258 컨트롤러 라고하며, 가격은 각종 할인 적용해 무배에 34,400원 이었습니다. Micron Crucial BX300 SSD 120GB 사진 몇장 올려봅니다. ▲ 다나와 BX300 정보 - 실리콘모션 SM2258 컨트롤러, MLC, 3D낸드 ▲ SSD와 가이드가 왔습니다. 저 정품 스.. 2018. 8. 24.
UNICORN XU-400N 블루투스 동글 후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LG HBS-510)을 연결해서 잘 사용중에 있습니다. 이제는 데스크탑과 블투 헤드셋과 연결해서 사용하면 좋을거 같아 블루투스 동글(dongle)을 검색해봤습니다. 처음에는 TG삼보의 TG-BTD90 를 구매하려고 했는데, 적립금 소진할께 있는 쇼핑몰에서는 높은 가격이길래, 그냥 유니콘 XU-400N 제품을 구매했습니다. 중소업체의 여러 제품들이 아마도 거의 비슷한 성능과 스펙에다가 브랜드와 포장만 다르게 해서 내놓은 제품들 일것같지만, 상품설명에 윈도우10 호환 가능하다는점과 APT-X 지원한다는 제품들 중에서 고르게 되었습니다. 물론, 제 Bluetooth 헤드셋은 APT-X를 지원하지 않는 기종이지만, 언젠가 쓸일이 있겠지 싶었거든요. 도착하자마자 바로 USB에 꼽고 사용.. 2018. 8. 1.
Windows 10 Microsoft Store에서 설치한 앱 삭제하는 방법 윈도우 10 을 사용중인데,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쓸만한 앱이 있다는 정보를 들어서 한번 설치를 해봤습니다. 사용해본후 막상 자주 쓸것같지는 않아서 삭제를 하려고 하는데, 어디서 삭제를 하는건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 윈도우 키를 눌렀을때 나오는 Microsoft Store 에서 들어가서 ▲ 앱을 검색해서 설치를 했었습니다. ▲ 삭제를 하려고 습관적으로 '프로그램 및 기능' 에 들어가보니 조금전에 설치했던 앱이 없더라구요. 아마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설치하는 프로그램만 있고, 스토어에서 설치한 앱은 안보이는것 같더라구요. ▲ 그래서 여기서기 찾아보니 윈도우 키를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서 '앱 및 기능'을 눌러서 들어가봤습니다. ▲ 그랬더니 여기에서 설치했었던 앱을 삭제할수 있더라구요. 앱 뿐 아니라 일반적.. 2018. 7. 3.
이미지에 증가하는 원숫자(①②③..) 쉽게 표시하기 - 픽픽 에디터 이미지에 갯수를 표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에 잘띄도록 일반 텍스트보다는 원문자 방식을 이용해서 숫자를 매겨 넣는데, 포토샵이나 포토스케이프에서는 이 작업이 좀 번거롭더라구요. 제가 방법을 잘 모르는 것일수도 있겠으나, 텍스트 방식으로 특수문자중 원숫자를 하나씩 매겨 넣거나 혹은 쓴 숫자를 복사해서 숫자만 계속 고쳐나가는 방법으로 했었거든요. 그런데, 픽픽에 이런 작업을 쉽게 할수 있다는걸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수년간 픽픽을 써왔음에도 기본 캡쳐만 이용하다보니 픽픽 에디터에 이런 기능이 있었는지 몰랐네요. ▲ 예를들어 위와같이 갯수를 확인차 원안의 숫자로 카운팅하며 표기하는게 생각보다 꽤 번거로웠습니다. ▲ 픽픽 에디터에서 넘버링 하는 방법을 움짤로 찍어봤습니다. 메뉴중에 스탬프를 클릭해서 클릭.. 2018. 6. 6.
사운드 장치를 쉽게 변경하는 방법 - AudioSwitcher 저는 스피커가 달린 모니터를 HDMI 포트로 연결해 사용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2채널 스피커는 메인보드의 스피커잭에 연결되어 있구요.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소리를 들을때, 간편하게 모니터의 스피커로 들을때도 있고, 음악이나 영화를 볼때에는 일반 스피커로 듣습니다. 모니터에 달린 스피커는 아무래도 음질이 떨어지니까요. ▲ 윈도우10을 사용중인데 모니터 스피커와 일반 스피커간에 변경을 하려면, 위 이미지와 같이 트레이에서 '소리' 아이콘을 클릭해서 어느걸로 들을지 선택을 하게 되죠. 그런데, 이렇게 전환하는 빈도가 늘다보니 꽤 귀찮다고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좀더 편하게 사용하는방법이 없을까 찾아봤습니다. Audio Switcher - https://audioswit.ch/er 역시나, 능력자분이 만들어.. 2018. 5. 25.
윈도우10 RS4 간단 사용후기 Windows 10의 RS4 가 나왔갈래 설치해봤습니다. 기존에는 RS2를 사용하다가 RS3가 나온 초기에 업데이트 했었는데, 모니터가 제대로 안잡히고 자잘한 오류나 버그들이 있는거 같아서 RS2로 되돌린다음 업데이트를 잠시 막고 쭉 RS2를 사용했었습니다. 제가 쓰는 프로그램중에 호환이 잘 안되는게 있는건지, 가끔 종료시 블루스크린이 뜨는 경우가 있었고, 포맷한지도 오래됬고 해서 싹 밀고 RS4를 설치해봤습니다. 기존 RS2는 '버전 1703(OS 빌드 15063.1029)' 였는데, RS4로 업그레이드 하니까 '버전 1803(OS 빌드 17134.5)로 되었네요. 1. 부팅하면 인터넷 브라우저가 저절로 켜지는 문제 - 해지 가능 RS3의 큰 문제중 하나는 컴퓨터를 켜면 인터넷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켜지.. 2018. 5. 1.
windows 보안 경고 - clipsoft rexpert30printservice 컴퓨터를 부팅해 윈도우 로그온 해서 들어왔는데, 갑자기 뜬 Windows 보안 경고창 경로를 보니 C: > program files (x86) > clipsoft > rexpert30printservice > http > rexpert.iojs.exe 네요. 이런 팝업은 토렌트 프로그램 같은거 설치할때 많이 봤던 화면이었던거 같네요. 프로그램이나 앱, 특정포트등이 방화벽을 그냥 지나갈수 있도록 허용을 해줄꺼냐고 묻는거죠. 본인이 설치한 프로그램등에서 이런팝업창이 뜨면 대체로 액세스 허용을 눌러서 진행시키겠구요. ▲ 이게 뭐지? 내가 뭘 깔았었나? 클립소프트? ▲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에 가보니, ClipSoft 사에서 뭘 설치를 하긴 했었네요. ▲ 좀전에 연말정산 조회해보느라고 홈텍스에서 들어가서.. 2018. 1. 16.
HDD,SSD 드라이브가 제대로 인식이 안될때... 잘 사용하다가 갑자기 HDD/SSD가 인식이 안됬던 경험을 적어봅니다. 여분의 SSD로 부팅해서 사용한후 다시 메인SSD로 부팅해서 사용하는 찰나... 물려있는 HDD는 파티션을 2개로 나눠 사용하고 있는데, 그중 한개의 파티션이 갑자기 인식을 못하던 상황이었습니다. 어? 이거 날라가면 안되는건데? 싶어서 당황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 떼어내고 HDD만 단독으로 물려서 부팅을 해봤습니다. ▲ HDD로 부팅을 시키니 CHKDSK를 진행하나 싶더니 화면이 바뀌면서 'Deleting an index entry with id OOOO from index $SDH of file OO. 가 쭉 나오더니 곧이어 'Replacing invalid security id with default security id for .. 2017. 12. 7.
엑셀에서 상하좌우 방향키로 스크롤바가 움직일때 해결방법 엑셀에서 입력을 하려고 마우스로 클릭한후 옆 셀로 이동하려고 키보드의 방향키를 눌렀는데, 셀 이동이 안되고 스크롤바가 움직였습니다. 상하좌우 모든 방향의 키가 그렇더라구요. 아래 GIF 이미지를 보시면 금방 이해가 될겁니다. 마우스 커서로 스크롤바를 움직인게 아니고, 키보드 상하좌우 키보드를 눌렀는데 저렇게 스크롤바가 움직였습니다. 여태껏 엑셀을 쓰면서 이런적이 없었던거 같은데... 뭐지? 하면서 순간적으로 당황했네요. 이유는 키보드의 Scroll Lock 이 켜있었기 때문입니다. 요즘 키보드에는 ScrLk 으로 표시되어 있을겁니다. 이걸 한번 누른후에 다시 엑셀에서 방향키를 눌러서 셀 이동을 해보세요. 이제 정상적으로 잘 될겁니다. 2017. 12. 4.
USB 연장케이블 10m - 프린터와 연결이 안될수도... 프린터가 있는데, 제 컴퓨터에서 거리가 대략 5~7미터(?)정도 떨어져있습니다. 그래서 가끔 출력을 할때면 USB에 파일을 담아서 그 컴퓨터에 가서 출력을 하곤 했습니다. 양쪽 컴퓨터에 같은 프로그램이 같은 버전으로 있고 그러면 다행이지만, 그게 아니라면 뭔가 약간씩 호환성 문제가 생길수도 있고, 설치되어있지 않는 프로그램에서 출력할때라던가, 각종 액티브X를 잔뜩 깔아야 될경우에는 타 컴퓨터에서 하기가 좀 꺼려지더라구요. 요새는 무선 와이파이가 되는 기종들도 있던데, 그건 지원이 안되고 하여 긴 USB선을 사서 연결하면 되겠다 싶었습니다. 길이는 얼추 5미터 안팎인데, 5M 짜리를 살까 10M 짜리를 살까 하다가 10M 짜리로 구매를 했습니다. 제품을 받고 프린터와 연결을 해보니, 위와같이 (USB 장치.. 2017. 10. 25.